2024/02/09 2

의사..인원이 문제일까?

“진로 한번 바꿔봐?”… N수생·명문대생, 직장인들까지 문의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2000명 증원하는 내용의 입시제도 개편안을 발표하자 입시 학원가도 달아오르고 있다. 의대 진학을 고려하지 않고 있던 www.kmib.co.kr 2025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2000명 증원한다고 한다. 병원들이 사라지는 것이 의사의 수가 부족해서일까? 그러기엔 개인병원들은 많아지는 거 같은데... 많은 의사들이 전공의를 취득하고 나서는 큰 병원을 그만두는 것 같다. 그건 인원의 문제만이 아닌 제대로 된 사명감을 가지고 하는 의사가 적어서가 아닐까.. 그런데 그건 어떻게 채울수 있는거지? 레지던트 시기에 인턴이 해야 할 일을 하고, 전공의가 되어도 레지던트의 역할까지 해야하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다. 각..

Talk/News..? 2024.02.09

Ask @ Bosama..?

나는 무매력의 사람인지라, 어렸을땐 별명이 없었다. 오히려 성인이 된 후에 별명들이 생겼는데, 좀 많다. 친구들이 부르는 걸 보면 내 성이 "보"씨인거 같을 때가 있는데, 이름에 "보"가 들어가서 그걸로 많이 쓰였다. 원래는 단순하게 "보사마" 였다. 그걸 빠르게 하다가 "보쌈"이 되고... 그게 변형이 되면서 이렇게 되었다... 교회에서 애들 밥 잘 챙긴다고 "보권사" 생활/살림 정보 잘 안다고 "생생정보통" 물어보면 다 대답해준다고 "무엇이든 물어보삼" (이수근,서장훈이 하는 무엇이든 물어보살이 있기전부터 불렸다) 검색어를 넣으면 이런저런 이야기들이 나온다고 "네이보" 여기서 별명이 좀 한길로 통함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누군가의 핸드폰에는 아직도 "무엇이든 물어보삼"으로 쓰여있고 10년이 넘은 지..

Ask @ Bosama 2024.02.09
728x90